2020년 회고
작년 말에 이직했으니 이제 곧 입사한지 1년이 다 되어간다. 근데 체감상 나에게 올 한 해는 "나 뭐 했지" 인 것 같다. 분명 기술적으로 굉장히 많이 성장했다.
개인 프로젝트
올해 Github에서 정식 버전을 선보인 Actions를 활용해서 AWS 인프라에 CI/CD를 자동화 하는 라이브러리를 배포해서 Actions 치고는 꽤 쏠쏠한 Star도 받았다. Github 자체 검색 엔진에 의해 노출이 되었으니까 말이다.
aws-ssm-send-command
는 Github Actions이 돌아가는 과정에서 AWS 리소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서, 자동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이다.
보통 Github에 코드 푸시 후 CI를 마친 뒤 CD를 위해 CodeBuild, CodeDeploy나 Jenkins같은 툴을 사용하게 되는데, 혼자 개발하는 입장에서 또 새로운 툴을 배우기가 굉장히 버거웠다. 배우려고 했으나 젠킨스는 오래된 UI 탓인지 왠지 모르게 손이 안가더라..
그러던 와중 AWS SSM
이라는 것을 접하게 되었는데, 여러 기능이 있지만 나에게 굉장히 충격이었던 것은 바로 EC2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하지 않고, 자바스크립트로 EC2 안에 있는 스크립트를 원격으로 대신 실행시키기라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당연히 제공이 되었을 것 같은데 바보같이 모르고 있었다.
사용해보니 문제 없이 작동되었고, 이걸 Action으로 만든다면 Github에 코드 푸시를 했을 때 알아서 배포까지 한 번에 되겠네 라는 생각과 함께 만들었던 것 같다.
기존 회사 프로젝트에는 renovate
라는 툴이 이미 적용되어 있었는데, 이 툴을 업데이트 된 패키지가 있으면 계속 감지해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라고 PR을 날려주는 툴이다. 심지어 patch 버전 업데이트는 그냥 알아서 master에 merge까지 시켜버린다.
aws-ssm-send-command
를 적용시키기 전에는 몰랐는데 적용시키고 보니 renovate가 패치 버전을 감지해서 master에 머지해버리면, aws-ssm-send-command
master 브랜치 이벤트를 감지하고, 실제 서버에 배포까지 해버리는 그야말로 소 뒷걸음질 치다 쥐 잡는 격이 되어 버렸다.
개발자로서 카타르시스가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덕분에 주말에도 의존성 패키지가 업데이트 되어 있으면 지들이 알아서 북치고 장구치고 다 한다. 너무 좋다...
아무튼 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나서 얼마전 우연히 정부에서 관리하는 공개SW 사업부에서 공모한 오픈소스 활용기 자랑하기 이벤트
가 있길래 아무 생각 없이 이 라이브러리로 신청을 했더니, 덜컥 당첨이 되어버렸다.
당첨되면 회사로 치킨 10마리를 보내주고, 나중에 단독 인터뷰가 있다고 하던데 인터뷰는 코로나 때문에 대면으로 하기 어려운 모양이다. 내년 초에 가능할 것 같다고 하셨다.
아무튼 회사로 교촌치킨 10마리 받아서 팀원들이랑 옆 팀에게 나눠주고 감사히 잘 먹었다.
(내가 넥슨과 삼성전자 다니시는 분들과 어깨를 나란히..!? 😂)
오픈소스 프로젝트
초반 iOS 개발 1년을 제외하면 웹 개발을 시작한지 올해를 다 채우면 4년이 된다.
내년이면 5년차 시작이구나. 근데 이 쯤 되니까 확실히 내가 코딩할 때 달라졌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
예전에는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쓸 때 안되면 안되네~ 하고 다른 걸 찾았다면, 지금은 뭔가 안되면 자연스럽게 코드를 열어보게 되었다. 이런 부분에선 typescript
가 참 도움이 많이 되었다.
확실히 버그가 있는 부분에 issue를 날리고, 댓글을 주고 받는게 생각보다 재밌더라.
그러다 최근에 엄청 마음에 드는 프로젝트를 찾았는데, 바로 bunkerized-nginx
라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정말 대박인게 보안도 보안이지만, letsencrypt
를 자동으로 갱신해준다.
그게 뭐 대단한거야?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사용해보니까 너무 깔끔하게 원큐로 동작하는 걸 보고 소리를 질렀다.
왜냐면 막상 100% 자동화로 인증서를 끊기지 않게 스크립트를 작성하려면, 스케줄링 때문에 생각보다 어렵다.
어쨌든 최근에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다가 직접 발견한 굉장히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바로 카톡이나 슬랙 등에 웹사이트 url을 붙여넣으면 Open graph
데이터가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심지어 nginx 로그도 찍히지 않아서 디버깅이 굉장히 힘든 상황이었다.
결국 순정 nginx와 비교하면서 하나씩 찾아내는 수 밖에 없었고, 원인은 링크를 붙여넣는 순간 해당 크롤러 봇이 URL을 분석하게 되는 구조였는데 HTTPS 인증서가 TLSv1.2
를 지원하지 않는 게 문제였다. (최신은 TLSv1.3이고, 보안 상 권장사항이다.)
이 부분을 v1.2와 v1.3을 둘다 설정하니까 잘 작동했다.
이걸 고치는 계기로 PR을 처음 날려봤는데, 다행히 잘 merge되서 처음으로 오픈소스에 기여해보는 경험이 되었다. 엄청 뿌듯한 경험이었다.
Tailwind CSS
원래 나는 코드 작성보다는 예술을 더 좋아하는 탓에, 백엔드보다는 프론트엔드 개발을 좋아한다. 그래서 개발자이지만 UI/UX에 유독 신경을 많이 쓴다.
유료 강의도 사서 들었던 적이 있는데, Refactoring UI
라는 e-book 이라고 해야되나? 아무튼 굉장히 퀄리티가 좋은 책이다. YouTube에 강의가 무료로 몇 편 공개되어 있다.
아무래도 스타트업에서만 일을 하다보니 어쩔 수 없이 디자인 리소스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업을 많이 해왔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아무튼 그 책을 쓴 사람들이 Tailwind
라는 캐나다 출신들이 만든 팀의 코어 멤버들인데, 그 팀이 사이드 프로젝트로 Tailwind CSS
라는 유틸리티를 오픈 소스로 개발했고, 다운로드가 1천만을 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을 활용한 Tailwind UI
라는 유료 솔루션도 판매를 했는데 사이드 프로젝트로 무려 200만 달러 (한화 22억 가량)의 수익을 올렸다고 공개했다. 정말 엄청난 성과이다.
이래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라고 하나보다. 물론 엄청난 틈새 시장 인사이트가 필요하지만 말이다. 영어도 잘 해야겠고..
나는 이 유틸리티가 너무 마음에 들었던 탓에, 일단은 Vue에서만 사용 가능한 Force UI
라는 CSS 프레임워크도 만들어서 올려두었다.
그래서 이 프레임워크를 회사 프로젝트 중 1개에 적용시켰다.
꽤 깔끔하게 UI를 뽑았다고 생각하고, 이 모든 건 모두 Refactoring UI와 Tailwind UI를 적절히 조화시킨 결과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여러 가지 이유로 버전 업데이트를 못하고 있지만, 내년에는 라이브에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개선해볼 생각이다.